어느 순간 우리는 과거에 대한 로망을 품게 된다. 지금보다 더 낭만적이고 예술이 살아 숨 쉬던 시대, 모든 것이 완벽했던 것만 같은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는 현재의 삶이 너무나 평범하고 지루하게 느껴질 때, 과거가 주는 신비로움과 매력에 더욱 빠져든다.
우디 앨런 감독의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Midnight in Paris, 2011)》는 바로 이런 인간의 심리를 매력적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이 영화는 과거를 동경하는 한 남자가 진짜로 과거로 시간여행을 떠나면서, 자신이 꿈꾸던 시대와 마주하게 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하지만 이 영화는 단순한 판타지 영화가 아니다. 단순히 시간여행을 통해 과거를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향한 동경이 정말로 현실보다 나은 것인가?라는 철학적인 질문을 던진다. 이 리뷰에서는 영화가 전하는 메시지와 그 속에 담긴 감동을 깊이 있게 분석해보려고 한다.
현대에 만족하지 못하는 남자, 그리고 그가 사랑한 1920년대 파리
영화의 주인공 길 펜더(오웬 윌슨)는 헐리우드에서 활동하는 시나리오 작가다. 하지만 그는 대중적인 상업 영화보다는 문학적인 소설을 쓰고 싶어 하는 예술적 감성을 가진 인물이다.
그는 약혼녀 이네즈(레이첼 맥아담스)와 함께 파리를 여행 중이지만, 그녀와의 관계는 점점 삐걱거리고 있다. 이네즈는 현실적인 성향이 강하고, 파리의 낭만을 즐기려는 길을 이해하지 못한다. 그녀는 그저 친구들과 쇼핑하고 고급 레스토랑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중요할 뿐이다.
반면 길은 현재에 만족하지 못하고, 1920년대 파리에 대한 강한 동경을 가지고 있다. 그 시절은 문학과 예술이 꽃피우던 황금기였고, 헤밍웨이, 피츠제럴드, 거트루드 스타인 같은 위대한 예술가들이 모여 창작 활동을 하던 시대였다. 길은 그 시대로 돌아가면, 자신도 진정한 예술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어느 날 밤, 길은 홀로 파리의 거리를 걷다가 자정이 되자 갑자기 나타난 클래식 자동차를 타고 1920년대로 시간여행을 하게 된다. 그곳에서 그는 자신이 동경하던 예술가들과 실제로 만나게 된다.
환상적인 만남 – 과거 속 예술가들과의 시간
길이 1920년대 파리에 도착하자, 그의 눈앞에는 마치 꿈과도 같은 광경이 펼쳐진다.
그는 스콧 피츠제럴드(톰 히들스턴)와 그의 아내 젤다 피츠제럴드(앨리슨 필)를 만나 함께 술을 마시고 대화를 나누며, 거트루드 스타인(캐시 베이츠)의 문학적 조언을 받는다. 또, 그의 우상이었던 어니스트 헤밍웨이(코리 스톨)와도 만나며, 자신의 원고에 대한 의견을 듣게 된다.
헤밍웨이는 길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그는 전쟁과 사랑, 용기에 대해 이야기하며, 길에게도 자신의 삶을 두려움 없이 살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의 말은 문학적 감성뿐만 아니라, 길이 현실에서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들에 대한 통찰을 얻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그리고 그곳에서 길은 아드리아나(마리옹 코티야르)라는 신비로운 여성을 만나 사랑에 빠지게 된다. 아드리아나는 피카소와 헤밍웨이의 연인이었던 인물로, 그녀 역시 현재보다 과거를 더 사랑하는 사람이다. 길은 그녀와 함께하면서 점점 더 과거에 머물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하지만 영화는 여기에서 흥미로운 반전을 제공한다. 아드리아나는 1920년대보다 더 이전 시대인 1890년대 벨 에포크 시대를 동경한다. 길이 1920년대를 이상적으로 여겼듯이, 그녀 역시 그보다 더 이전의 시대를 낭만적으로 바라보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 메시지 중 하나다. 인간은 항상 현재보다 과거가 더 나았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과거에 살았던 사람들조차 자신이 살던 시대를 완벽하다고 느끼지 못했다는 것. 결국 우리는 언제나 이상적인 시기를 꿈꾸지만,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으면 결코 만족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현실로 돌아와야 할 순간 – 성장과 깨달음
길은 계속해서 과거에 머물고 싶어 하지만, 그는 점점 중요한 진실을 깨닫게 된다. 아무리 1920년대가 아름다운 시대일지라도, 그것이 그에게 완벽한 현실이 될 수는 없다는 것. 그리고 과거로 돌아간다고 해서, 자신이 꿈꾸던 모든 것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는 결국 아드리아나에게 작별을 고하고, 다시 현실로 돌아오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그는 현재의 삶을 바꾸기로 한다.
그는 약혼녀 이네즈와의 결혼을 취소하고, 자신의 인생을 새롭게 시작하기 위해 파리에 남기로 결정한다. 더 이상 과거를 동경하며 현실을 도피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을 즐기기로 한 것이다. 그는 비가 오는 밤거리에서 새로운 인연을 만나며, 다시 삶을 사랑할 준비를 한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길이 파리의 세느강을 따라 걸으며 새로운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모습으로 끝난다. 이 장면은 단순한 해피엔딩이 아니라, 진정한 깨달음과 성장의 순간을 상징한다.
과거를 동경하는 대신, 현재를 살아가기
《미드나잇 인 파리》는 단순한 판타지 영화가 아니다. 이 영화는 "우리는 왜 과거를 동경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그것이 단순한 환상일 수 있음을 깨닫게 한다.
길은 처음에는 1920년대가 자신에게 가장 완벽한 시대라고 믿었지만, 결국 그는 그곳에서도 사람들이 또 다른 과거를 동경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는 우리에게 중요한 교훈을 준다. 과거는 언제나 아름다워 보이지만, 우리가 살아가야 할 곳은 바로 지금, 현재라는 것.
우리는 때때로 현재에 만족하지 못하고, 과거가 더 나았다고 생각하지만, 중요한 것은 과거의 낭만을 즐길 수는 있되, 현실을 도피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충실히 살아가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영화는 전달한다.
《미드나잇 인 파리》는 과거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따뜻한 위로를 주는 영화다. 과거를 꿈꾸는 것은 좋지만, 우리는 결국 지금 이 순간을 가장 소중하게 여길 때 비로소 행복해질 수 있다.